건강

러너의 기초 교육 (속근과 지근)

Insight Nomad 2025. 5. 6. 18:53
반응형

우리의 **근육(Muscle)**은 크게 두 가지 유형의 근섬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:


1. 지근 (Slow-twitch fibers, Type I fibers)

  • 특징:
    • **산소(O₂)**를 많이 사용하는 유산소 운동에 특화됨
    • 수축 속도는 느리지만 오랫동안 수축 유지 가능
    • 피로에 강함
    • 미오글로빈, 미토콘드리아, 모세혈관이 풍부함 (붉은색)
  • 주로 사용하는 운동:
    • 마라톤, 걷기, 장시간 자전거 타기 등 지속적인 운동
  • 에너지 공급원:
    • 지방 + 탄수화물 → 산소와 함께 ATP 생성

✅ 2. 속근 (Fast-twitch fibers, Type II fibers)

  • 특징:
    • 무산소 운동에 특화됨
    • 수축 속도가 빠르고 강한 힘 발휘 가능
    • 피로에 약함
    • 미오글로빈과 미토콘드리아 수가 적어 흰색을 띰
  • 세부 분류:
    • Type IIa: 중간형, 산소도 쓰고 속도도 빠름 (속근+지근의 중간 성질)
    • Type IIb (또는 IIx): 진짜 ‘순수한’ 속근, 가장 강한 힘 발휘하지만 가장 빨리 지침
  • 주로 사용하는 운동:
    • 단거리 달리기, 웨이트 트레이닝, 점프 등 폭발적인 운동
  • 에너지 공급원:
    • 주로 탄수화물(당)해당과정(무산소 대사)

🧬 추가 설명

  • 사람마다 속근 vs 지근의 비율은 유전적으로 결정됩니다.
    예: 마라토너 → 지근이 많고, 단거리 육상 선수 → 속근이 많음
  • 하지만 훈련을 통해 어느 정도 전환이 가능합니다 (특히 Type IIa ↔ I 사이)

 



지근(Slow-twitch fibers)과 속근(Fast-twitch fibers)의 주요 특성을 비교한 표를 아래에 정리해 🧾 지근 vs 속근 비교표

항목 지근 (Type I) 속근 (Type IIa) 속근 (Type IIx)

수축 속도 느림 빠름 매우 빠름
지구력 매우 높음 중간 낮음
힘 발휘 낮음 중간 매우 강함
피로 저항성 매우 강함 중간 약함
에너지 대사 유산소 대사 (산소 사용) 주로 유산소 대사, 필요 시 무산소 대사 무산소 대사 (해당과정 중심)
미토콘드리아 많음 중간 적음
미오글로빈 많음 중간 적음
색상 붉은색 연한 붉은색 흰색
주요 활용 장거리 달리기, 걷기, 자세 유지 등 중거리 달리기, 지속적인 근력 운동 등 단거리 질주, 점프, 웨이트 트레이닝 등

🧠 추가 정보

  • 지근(Type I): 산소를 이용한 에너지 생성에 특화되어 있어 장시간 활동에 적합합니다.
  • 속근(Type IIa): 지근과 속근의 중간 특성을 가지며, 다양한 활동에 유연하게 대응합니다.
  • 속근(Type IIx): 빠른 수축과 강한 힘을 발휘하지만, 피로가 빠르게 옵니다.
반응형